KOPA

중국 지역별 농식품 수출 유망품목과 마케팅 전략(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댓글 0건 조회 8,646회 작성일 13-03-16 14:20

본문

소도시 공략, 브랜드 고급화 등 새로운 전략 수립 필요

일본에 이어 우리 농식품 수출 2위 국가인 중국. 중국은 지난 5년간의 수출증가율을 고려할 때 향후 우리 농식품 수출시장 1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대 중국 농식품 수출을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유망품목에 대해 조사했다.

□동북 지역 수출유망품목
▲식품 소비시장 특성=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의 동북 3성 지역은 중국 정부가 ‘동북 대개발 프로젝트’를 발표한 이후 2010년부터 본격 개발에 착수하면서 성장기에 있는 곳이다.
이러한 경제 활성화에 따라 각 성별 성도를 중심으로 고소득층을 겨냥한 프리미엄마켓이 커나가고 있다. 식품의 경우 유럽, 미국, 일본, 한국, 동남아 등 세계 각지에서 수입된 식품의 대형유통매장 입점이 증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 수출의 주요관문은 요녕성의 대련으로 주요항구는 대련, 영구, 단동 3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심양·장춘·연길·하얼빈으로 유통경로가 형성돼 있다. 그 밖에 산동성 청도, 황도, 위해 등의 항구를 통해 식품의 수입이 이뤄지고 있다.
인터넷 보급 확대로 인해 지역별 온라인쇼핑몰 구매가 확대되고 있으며, 1가구 1자녀 정착에 따른 ‘소황제의식’으로 영유아 전문샵이 도시별로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한국과 가깝고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많아 한국식품에 대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지만, 비정상 통관이 다발적으로 이뤄져 정상통관 제품의 시장 경쟁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 농식품 유통·소비현황=최근 한국산 조제분유의 시장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 2선 도시에 대한 집중 마케팅, 산후조리원, 병원 등에 대한 신규입점 확대가 한국산 인지도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것. 또한 동북지역 대형유통매장 및 2,3선 도시 영유아 전문점을 중심으로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바나나우유는 중국 대도시 및 동북지역, 중서부 지역까지 인기가 높아진 상황으로, 한국의 다양한 브랜드의 바나나 우유가 출시되고 있다.
유자차도 대도시에서 성공한 대표 품목이며 동북지역의 경우 대련·하얼빈 등 주요도시에서 정착, 주변도시로 제품 인지도가 높아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수출 유망품목=우리 신선우유와 관세율이 5%로 인하된 조제분유의 수출이 유망해 보이며, 신자원 식품으로 분류된 인삼도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해물경단, 해물만두 등 간편 냉동식품도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 드라마의 인기와 한식당의 보급 확대 등으로 인해 한국 장류(비빔밥용) 및 떡볶이 제품도 수출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홍콩, 마카오지역 수출유망품목
▲식품 소비시장 특성 및 수출 유망품목=홍콩·마카오는 주택 및 부엌이 좁기 때문에 가정에서 조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외식문화가 발달돼 있다.
우리 농식품 중에서는 인삼, 김치, 딸기, 버섯, 생굴, 계란의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홍콩·마카오에서는 인삼을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약재의 하나로 인식해 원기회복이나 체력증강을 위해 구입, 탕으로 복용하고 있다. 고급 탕을 끓이거나 노약자, 산모, 환자 등 특별식을 준비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한국 홍삼을 구입하기 때문에 꾸준히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김치는 최근 유명 식당체인이나 레스토랑에서 프로모션이 시작돼 인지도가 상승 중에 있으며, 이에 지난 3월까지 대 홍콩 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44.7%가 늘어난 118만5000 달러를 기록했다.
딸기는 홍콩에 수입되는 여러 나라의 제품 가운데 한국산이 단맛과 신맛의 조합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11월~3월 사이에는 한국산 딸기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다.
이밖에 자체 생산 없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버섯·생굴·계란도 한국산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져 수출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수출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
▲2, 3선 소도시 공략=중국의 수도권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우리 제품의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으나 지방도시에서는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홍보를 강화해 전국적인 소비기반 및 저변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트렌드 조사와 중점마케팅 전략 개발에 각 지역 도시별 특성을 반영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유통 다변화=다수의 바이어가 유사한 여러 한국 제품을 유통시킨 결과, 가격경쟁으로 인해 시장에서 ‘한국브랜드는 저가’라는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전역단위 유통이 가능한 대형 바이어와의 신규상품 매칭강화를 통해 브랜드 고급화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새로운 유통채널인 온라인과 외식체인에 대한 집중 공략을 통해 유통을 다변화 하려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수출지원정보 웹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KOPA